'2024/08/01'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4.08.01 EPUB에 대한 오해와 진실 - epub2 epub3 차이
posted by 내.맘.대.로 2024. 8. 1. 11:49

내맘대로의 EPUBGUIDE.NET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전자책을 제작해 드립니다.

종이책의 편집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며, 팝업 주석 처리, 이미지 확대 축소 등 전자책의 장점을 반영하여 전자책을 제작합니다. 탬플릿을 사용하지 않고, 책 한권 한권 고유 스타일을 살리기 때문에 전자책에서도 종이책 디자인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의 [텍스트형 전자책 제작 지원 사업] 선정 도서는 ‘제작 난이도별 제작비 산정 기준에 근거하여’ 제작 단가를 산정하고, 일정에 맞춰 제작을 해 드리니 많은 문의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https://www.epubguide.net/notice/309

오래 전 작성된 글은 현재의 Sigil 버전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등록 일자를 확인 하고 1년 이상 지난 글은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내 주요 서점들이 전자책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이 넘었다. 아마존이 킨들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며 국내에서도 2009년 즈음 부터 전자책 붐이 일기 시작했다. 이전에도 다양한 형태로 전자책을 판매하고 있었지만 이 시기부터 교보문고, 리디북스,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등 온오프라인을 기반으로 종이책을 판매하던 서점이 전자책 유통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교보 문고에서 국내 유통사 최초로 EPUB이라는 형식의 전자책을 상업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하고, 이를 시작으로 대배분의 유통사들이 EPUB을 전자책 기본 형식으로 받아들였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전자책을 이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전자책에 대한 오해를 하고 있다. 국내에는 전자책 표준이 없다. 전자책은 이미지와 텍스트를 나열한 수준이다. EPUB2는 텍스트형 전자책이고 EPUB3는 멀티미디어형이다 등 가장 기본적인 내용 조차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 글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전자책에 대한 진실을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자책 유형인 EPUB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EPUB2가 표준이다

EPUB2와 EPUB3에 대해서는 잘못 알려진 정보가 많다. 무엇 보다 먼저 바로잡아야 하는 오해는 표준이다. 국내 시장의 주류 포맷인 EPUB2를 전자책 표준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EPUB 표준을 관리하던 IDPF에서 2011년에 EPUB2를 EPUB3로 대체하였고, 2014년 이후 부터는 더 이상 유지 관리를 하지 않는다고 발표하며 사실상 폐기했다. 

 

EPUB 2.0.1 was superseded by  EPUB 3.0 in October, 2011. As of June 2014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EPUB is EPUB 3.0.1. EPUB 2.x is now considered obsolete and is no longer under active maintenance.

2011년 10월에 EPUB 2.0.1이 EPUB 3.0으로 대체되었습니다. 2014년 6월 현재 EPUB의 최신 출시 버전은 EPUB 3.0.1입니다. EPUB 2.x는 이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더 이상 활성 유지 관리를 받지 않습니다.

(출처 : https://idpf.org/epub/201)

 

이후 IDPF가 웹 표준을 관리하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로 병합되며 EPUB의 관리 주체가 W3C로 넘어갔다. 그리고 2019년 5월 EPUB3.2를 최종버전으로 승인하면서 2022년 현재 기준으로 EPUB3.2가 공식적인 표준이 되었다.

 

아마존, 구글, 애플 등 해외 유통사는 표준 포멧인 EPUB3를 모두 지원하지만 국내 유통사는 대부분 EPUB2를 사용한다. 이는 전자책 산업의 발전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EPUB3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EPUB2에서 팝업 주석을 표준화 된 방식으로 적용할 경우 EPUB의 적합성 검사에서 오류가 표시된다. 일본어 발음 등을 표기할 때 주로 사용하는 루비 문자 역시 책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EPUB2로는 표현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일부 유통사는 표준에 위배되는 방식으로 팝업 주석을 적용하도록 한다. 루비 문자는 오류가 나지만 받아주는 유통사도 있다. 이렇게 표준을 우회하는 예외가 쌓이다 보면 EPUB3를 적용할 때 기존에 만든 EPUB2 전자책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EPUB2는 텍스트형, EPUB3는 멀티미디형이다.

국내 유통사가 EPUB3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EPUB에 대한 또다른 오해 때문이다. EPUB2는 텍스트형 전자책을 위한 포멧이고 EPUB3는 멀티미디어 전자책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는 오해이다. 전자책 전문가라고 얘기하는 사람들 조차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이 EPUB3의  핵심인 것 처럼 얘기한다. 하지만 EPUB3 Reading System 문서(전자책 뷰어의 요구사항이 담긴 문서)에는 멀티미디어 파일 지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 2024년 8월 현재 국내 주요 유통사 4곳(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리디북스)의 뷰어는 제한적이지만 모두 EPUB3 파일을 볼 수 있다. 공식적인 유통 여부는 유통사 별로 다르다.

 

It is recommended that Reading Systems support at least one of the H.264 [H264] and VP8 [RFC6386] video codecs, but this is not a conformance requirement – a Reading System might support other video codecs, or none at all.

판독 시스템은 H.264 [ H264 ] 및 VP8 [ RFC6386 ] 비디오 코덱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것이 좋지만 이것은 적합성 요구 사항이 아닙니다. 판독 시스템은 다른 비디오 코덱을 지원하거나 전혀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www.w3.org/publishing/epub32/epub-spec.html)

 

또한 EPUB에서 지원해야 하는 핵심 미디어 유형(Core Media Type) 문서에도 다음과 같이 전자책 뷰어가 핵심 미디어 유형을 반드시 지원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되어 있다.

 

Inclusion as a core media type resource does not mean that all reading systems will support the rendering of a resource.

핵심 미디어 유형 리소스로 포함된다고 해서 모든 읽기 시스템이 리소스 렌더링을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읽기 시스템 지원은 또한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에 따라 다릅니다.

(출처 : https://www.w3.org/TR/epub-33/#sec-core-media-types)

 

EPUB3를 지원하는 전자책 뷰어라 해도 동영상이나 오디오 같은 멀티미디어 미디어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포함 여부로 EPUB2와 EPUB3를 구분 할 수 없고, 구분해서도 안된다.

 

EPUB3를 지원하는 전자책 뷰어를 만드는 것은 쉽다. EPUB2를 지원하는 뷰어에 몇가지 사항만 개선하면 EPUB3를 지원 할 수 있다. 하지만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것은 EPUB3를 지원하는 것과는 별개 문제이다.

아마존, 구글 등 해외 유통사는 모두 EPUB3를 지원하지만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을 제한적으로 받아들인다.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이 포함되어 있어도 전자책 뷰어에서 열리지만 이를 실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국내 유통사는 멀티미디어와 인터랙션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EPUB3가 표준이 된 지 10년 가까이 지나도 EPUB3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팝업 주석, 루비 표현, 세로쓰기, 아랍어 같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기, 고정 판형 등 EPUB으로 표현 가능한 다양한 편집을 제한함으로 인해 전자책 발전을 늦추는 결과가 되었다.

 

종이책 수준의 정교한 레이아웃을 할 수 없다

국내에서 위키피디아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나무위키의 전자책 항목에 보면 전자책의 단점으로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와있다.

 

현재 전자책 시장의 주류 포맷인 epub 2.0은 레이아웃 관련 기능이 정교하지 않아서, 단조로운 레이아웃 밖에 보여주지 못한다. 즉 현재 전자책에서는 다단 편집, 상하 좌우의 여백 설정, 도판과 캡션, 도판과 본문의 어울림(텍스트 감싸기) 등에서 종이책 수준의 정교한 레이아웃을 할 수 없고, 서체 표현에서도 타이포그래피 작업의 유연성에 한계가 있다. 즉 전자책에서는 제대로 된 '편집디자인'이 어렵다. 결국 소설책처럼 이어지는 텍스트를 통편집(1단 편집)하거나 만화책처럼 한 페이지를 통짜 그림으로보여주거나 하는 정도가 대부분.

(출처 : https://namu.wiki/전자책)

 

전자책을 출간하는 출판사 뿐 아니라 전자책을 전문으로 제작하는 제작사 조차 EPUB2는 편집에 제한이 있다는 얘기를 한다. 이 또한 전자책의 발전에 발목을 잡는 심각한 오해이다. EPUB은 종이책에서 표현 가능한 거의 모든 ‘편집 디자인’을 할 수 있다. 

 

 

필자가 만든 EPUB 전자책을 캡처한 이미지다. EPUB도 종이책에서 가능한 대배분의 편집 디자인을 할 수 있다.

 

다단 편집, 화면 크기에 따른 이미지 크기 조절, 이미지 캡션, 상하 좌우 여백, 들여쓰기, 내어쓰기 등 종이책으로 적용할 수 있는 편집스타일은 전자책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종이책으로 할 수 없는 편집을 할 수 있다. 종이책은 인쇄 문제로 흑백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지만 전자책은 고해상도 컬러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움직이는 이미지(GIF)로 EPUB2에서도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 있다. 역사책에서 민족이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지도 위에 이동 경로를 따라 화살표를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은 종이책으로 표현할 수 없다. 영한대역문고도 종이책 처럼 왼쪽에 영문, 오른쪽에 한글 번역문을 넣는 형태가 아니라 팝업주석을 이용해 독해가 어려운 문장만 한글 번역문을 확인할 수 있게 편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전자책 편집을 하려면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많은 독자들이 텍스트와 이미지를 대충 배치한 단순 편집 때문에 전자책 보다 종이책을 선호한다.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대충 만든 전자책은 독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출판사가 지금처럼 비용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 전자책을 만들고, 제작사는 보다 다양한 표현을 위해 연구를 하지 않는다면 독자들의 요구에 맞춰 전자책이 발전 할 수 없게 된다.

 

EPUB vs PDF

국내 주요 유통사는 EPUB과 PDF 유형을 전자책으로 유통한다. EPUB과 PDF는 특성이 다르다. 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편집자가 많다. 그래서 EPUB과 PDF 중 어떤 형식이 전자책을 만들 때 더 좋은가 하는 질문을 하는데, 이는 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실상 비교를 할 수 없다.

 

EPUB은 다양한 크기의 화면에서 책을 보기 좋지만 페이지가 없고, 화면 크기에 따라 너비, 높이 등이 바뀐다. EPUB으로 논문을 출간했다면 인용문의 출처를 정확히 표시하기 어렵다. EPUB은 페이지가 없어 어떤 논문의 몇페이지, 몇 번째 줄을 표기 할 수 없기 때문이다.(물론 EPUB에도 페이지를 표기하는 스펙이 있지만, 이는 인쇄를 위한 기술로 EPUB 자체의 페이지로 보기 어렵다) 온라인 강의 교재라면 강사가 40페이지 셋째 줄에 있는 단어가 중요하다고 강조 할 수도 없다. 모든 학생이 40페이지 셋째 줄에서 다른 단어를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패션잡지 처럼 편집 디자인 자체가 책의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때도 EPUB은 적합하지 않다. 화면 크기, 글자크기, 줄간격, 여백 등이 기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독자에게 동일한 편집디자인을 보여주기 어렵다.

 

물론 EPUB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 판형(Fixed Layout)을 지원한다. 고정 판형으로 EPUB을 만들면 종이책이나 PDF와 똑같이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편집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팝업 주석, 멀티미디어와 스크립트를 이용한 상호작용, 화면 크기에 맞춘 글자 크기 변경 등 EPUB의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통사 뷰어에서 고정 판형 EPUB을 지원하지 않아 유통에 제약이 있고 제작 비용이 높다는 한계가 있다.

 

PDF는 종이책과 똑같다. 인쇄용 PDF에 몇가지 설정을 추가해 전자책용 PDF로 변환을 한다. 그래서 종이책과 PDF는 편집디자인과 페이지가 완전히 동일하다. 학습서나 논문 처럼 특정 페이지를 지정해 설명을 해야 한다면 PDF로 만드는 것이 좋다. 화면 크기와 상관 없이 동일한 편집디자인이 유지되기 때문에 잡지나 도록 같이 편집디자인에 의미가 담겨있는 책도 EPUB 보다는 PDF가 더 적합하다. 그리고 종이책을 디지털화 하여 보존하거나 POD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때도 PDF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 같은 작은 화면에서는 PDF를 보기 어렵다. PDF는 글자 자체를 확대할 수 없고, 이미지를 확대 하듯 페이지 전체를 확대해야 한다. 그래서 신국판 판형의 책을 스마트폰으로 본다면, 책 자체를 스마트폰 크기로 인쇄한 것 처럼 글자도 작아진다. 

 

소설, 에세이, 경제경영서, 자기계발서, 쉬운 인문서 처럼 앞에서 뒤로 순서의 흐름을 따라 읽어야 하는 내용이라면 EPUB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보는 기기에 맞춰 글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편집도 화면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된다.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분야 책들이 전자책 독자들에게 인기가 좋다. 학습서, 잡지, 글자 수가 적고 이미지가 많은 유아용 도서는 EPUB보다 PDF가 좋다. 다만 PDF로 만든 전자책은 10인치 이상의 화면이 넓은 기기에서 보기 편하다. 기기의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대중적인 책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특수한 목적에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독자들은 PDF로 구매를 한다. 이처럼 EPUB과 PDF의 장단점을 잘 파악해 둔다면 만들고자 하는 책의 내용에 맞춰 전자책 유형을 쉽게 선택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치며

전자책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여기 언급한 내용 외에도 수많은 오해들이 출처를 알 수 없는 인터넷 게시물과 언론사의 기사를 통해 떠돌아 다니고 있다.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우위를 다루는 기사는 매년 나오고, 전자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표준이 없어서다, 가격이 비싸서 그렇다, DRM 때문이다 하는 얘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런 글은 전자책에 대한 제대로 된 지식 없이 소위 말하는 ‘카더라’ 식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전자책 시장이 발전하려면 이런 오해 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전자책과 관련하여 잘못된 정보가 유독 많은 편이다. 이런 잘못된 정보로 인해 전자책 시장에 들어오지 않는 출판사도 많이 있다. 전자책에 관심을 갖고 정보를 찾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보고 있는 내용이 ‘옳은’ 정보인지 신중하게 검토를 해야 한다. 그리고 정보를 올리는 사람이라면 떠도는 얘기를 자기 것인 양 재편집 하지 말고 충분히 공부를 하고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책임감 있게 글을 써야 한다. 최소한 가짜 뉴스, 엉터리 정보 때문에 전자책 시장이 제자리 걸음을 하는 일은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